공존플랜
지난 사업
- 1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양성이해교육 모니터링 연구용역 수행
- 1서울여성능력개발원 센터 평가 사후 컨설팅 진행
- 중랑여성인력개발센터, 관악여성인력개발센터, 동부여성발전센터, 서울장애여성인력개발센터
- 1대전시 거점온돌방 돌봄공동체 지원사업 컨설팅(10개소)
- 1남북하나재단 교육생활시설 현장평가 수행
- 성인쉼터 2개소 및 청소년 그룹홈 3개소
- 대안교육시설 및 지역아동센터 14개소
- 1강원도지역아동센터지원단, 남북하나재단, 서울시가족센터,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, 서울시인재개발원 출강
- 1대전시 거점온돌방 돌봄공동체 지원사업 컨설팅
- 1인천 다문화교육 종합발전방안 연구 공동연구(인천광역시교육청)
- 1이주배경 아동·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 시범사업 모니터링, 평가 및 모델개발 연구 공동연구(여성가족부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)
- 1이주배경 아동·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 시범사업 운영지원단(여성가족부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)
- 1진로위기청소년 유형별 진로교육 실천과제 심사 및 평가 · 컨설팅(교육부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)
- 1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처간 협력사업 심사 및 평가
- 1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양한 가족 성장 지원사업 컨설팅
- 1- 한국보건인력개발원, 부산광역시교육청, 대전광역시교육청, 경북다문화족지원센터, 김천시건강가정·다문화가족지원센터, 세종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,충청남도교육연수원, 충청남도공무원연수원, 서울시인재개발원, 남북하나재단 정착지원관리사 자격과정 (초급, 중급, 고급), 경상북도교육청, 부산시교육청, 군산대학교, 동국대학교, 지방자치인재개발원, 해남군청, 국가공무원, 광주광역시 공무원교육원, 강원도인재개발원, 전남여성재가족재단, 충남다문화거점센터, 코웍스, 국민대, 총신대,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,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출강
- 1공공부문 통일교육 시행(국립해양측위정보원 등)
- 1한국건강가정진흥원 다양한가족 공모사업 심사 및 컨설팅
- 1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처간 협력사업 사업 심사
- 1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청소년정책 연구 공동연구
- 1Asan Frontier Youth 5기 소셜임팩트 프로젝트
- 1중앙교육연수원, 서울시교육청, 경북교육연수원, 충남교육연수원, 인천시교육청, 지방자치인재개발원, 서울시인재개발원, 한국건강가정진흥원, 통일교육원,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,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대면, 비대면 교육 진행
- 1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강사 운영체계 개선 연구용역
- 1중앙교육연수원(탈북/다문화학생 이해, 다문화감수성) 학교관리자 연수
- 1공공부문 통일교육 시행(국립국제교육원, 국사편찬위원회, 대한민국학술원 등)
- 1사업기획 전문가 양성과정 진행(19차시, 차시별 4시간, 76시간 과정)
- 1전국의 시도교육청(교육연수원)에서 탈북학생, 다문화학생 관련 직무연수 강의
- 1Asan Frontier Youth 4기 소셜임팩트 프로젝트
- 1남북하나재단 정착지원전문관리사 자격과정 교육연수
- 1북한이탈주민 생애주기 맞춤형 설계 교육
- 진학 파트 컨설팅
- 1남북하나재단 지원 민간교육시설 및 공동생활시설 컨설팅
- 1남북하나재단 정착지원전문관리사 자격과정 교육연수
- 1아산나눔재단 Asan Frontier Youth 3기 사회혁신 프로젝트 운영
- 1다문화 탈북학생 관련 교사 직무 연수 진행
- 1서울 YWCA 중간관리자 캡스톤 프로젝트 운영
- 1남북하나재단 정착지원전문관리사 자격과정 교육연수
- 1아산나눔재단 Asan Frontier Youth 2기 사회혁신 프로젝트 운영
- 1TOWN for You 프로젝트 청강마을공동체 입주 후보자 팀프로젝트 운영
- 1다문화 탈북학생 관련 교사 직무 연수 진행
- 1통합서비스시범 사업 2차 컨설팅
-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
- 1아산나눔재단 Asan Frontier Youth 캡스톤 프로젝트 운영
- 1남북하나재단 정착지원전문관리사 자격과정 교육연수
- 1공존플랜 특강 - 탈북청소년, 다문화청소년, 다문화감수성, 프로그램 기획, 학교교사, 공무원, 대학생, 토론식, 캡스톤 방식, 참여형 강의
- 1교육부 연구용역 다문화가정 자녀의 공교육 진입 방안에 관한 연구
- 1탈북청소년 '적응과 통합' 연구 - 탈북청소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
- 1공동체 마을만들기 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 입주프로그램 연구개발
- 1북한이탈주민 생애주기 맞춤형 설계 교육
- 가족 파트 사전 교육